달성공원 (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성공원은 대구에 있는 공원이며,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토성 중 하나인 달성토성 안에 위치한다. 신라 시대에 달벌성으로 축조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경상감영이 위치하기도 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기지 및 대구신사가 있었으며, 1905년에 공원으로 지정되었다. 1963년 사적 제62호로 지정되었고, 1965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개조되었다. 현재는 동물원, 문화관 등을 갖추고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달성공원역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공원 - 팔공산
경상북도와 대구광역시 경계에 있는 팔공산은 비로봉을 최고봉으로 8개의 봉우리를 가지고 있으며, 갓바위, 사찰, 역사 유적지, 위락시설 등을 갖춘 관광지이자 후삼국 시대 전투가 벌어진 역사적 현장으로 최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의 공원 - 앞산
앞산은 대구 남구와 달서구 경계에 있는 660.3m 높이의 산으로, 주변 봉우리와 골짜기, 기념 및 체육 시설, 사찰, 방송 송신 시설 등을 포함한다. - 1905년 설립 - 광장시장
광장시장은 1905년 동대문시장으로 시작하여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며, 다양한 상품과 빈대떡, 마약김밥, 육회 등의 먹거리로 유명한 서울 종로구의 전통 시장이다. - 1905년 설립 - 경산역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한 경부선 경산역은 1905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2011년 선상역사로 재건축되었고, 2면 4선의 승강장과 광역전철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KTX와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역이다. - 1969년 설립 - 스완가드 스타디움
스완가드 스타디움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버내비에 위치한 육상 경기장으로, 밴쿠버 화이트캡스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2007 FIFA U-20 월드컵 경기장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 1969년 설립 - 서울중앙성원
서울중앙성원은 대한민국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 위치한 한국 최초의 이슬람 사원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터키 군인들을 통해 한국 무슬림 공동체가 형성된 후 1976년에 완공되었으며, 한국 이슬람교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달성공원 (대구) - [공원]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공원 |
위치 | 대구광역시 중구 |
면적 | 12만 8,700m2 |
개원 | 1905년 |
관리 | 대구광역시 |
웹사이트 | 달성공원 |
2. 역사
달성공원은 신라 때 달구화현(達句火縣)이라 불렸으며, 통일신라 경덕왕 때 대구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달성의 옛 이름은 달구화(達句火) 달불성(達弗城)에서 유래되었다.
1905년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달성공원 안에 대구신사(大邱神社)가 세워지기도 했다. 일본에서 발간한 《일본동맹통신사》에는 대구신사 건립에 조선인 김용주(창씨명 가네다 류슈)가 2000JPY을 기부하였다고 되어 있다.
1963년 사적 제62호로 지정되었다. 1965년 2월 달성공원 종합조성계획을 확정한 후 1969년 공원으로 탈바꿈시켰고, 1970년 5월 달성공원 종합문화관, 동물원 조성을 완료하고, 공원 내에 이상화 시비, 관풍루, 천도교 최제우 동상을 안치하였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달성공원역에서 가깝다.
2. 1. 삼한시대 ~ 조선시대
우리나라 성곽 발달사상 가장 이른 시기에 나타난 형식의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청동기시대 이래로 이 지방의 중심 세력을 이루고 있던 집단들이 그들의 생활 근거지에 쌓은 성곽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성벽 아래층에는 조개무지 유적이 있고 목책(木柵)의 흔적도 있다. 경주 월성처럼 평지에 있는 낮은 구릉을 이용하여 축성한 것이 특징이다.
삼국사기에는 신라 첨해왕 15년(261)에 달벌성을 쌓고 나마극종(奈麻克宗)을 성주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다. 신라에 합병된 뒤에는 군사 요지로 중시되었으며, 그 후 고려 공양왕 2년(1390) 토성에 석축을 더했다. 성벽은 주로 흙으로 축조되었고 주위 길이는 약 1300m, 높이는 4m 안팎이다.[5]
조선 선조 29년(1596)에 석축으로 개축하고 상주에 있던 경상감영을 현재의 경상감영공원 자리로 이전하기 전까지 이곳에 두기도 했다.
달성공원 자리는 본래 달성 서씨의 세거지(世居地)였는데 세종 때 문중에서 토지를 국가에 헌납하였다. 세종이 이를 포상하려 했지만 ‘서침’은 그 대신 국가에서 서민의 환곡을 탕감해줄 것을 건의하였고, 이에 따라 대구의 상환모곡은 1석당 오승씩 감면케 되었으며 조선 말까지 그 특례가 존속되었다. 대구 부민은 이와 같은 '서침'을 숭모하여 1665년 대구 구암서원에 봉향하였다. 한편 세종은 회화나무를 심어 서침의 마음을 기리게 했는데 현재 달성공원 내에 있는 '서침나무'가 그 나무로 알려져 있다.[6]
2. 2. 일제강점기와 독립운동
1915년 달성공원에서 대한광복단원들과 조선국권회복단원들이 모여 대한광복회를 결성하였다. 이들은 국권 회복과 공화제 실현을 목표로, 각 도(都)에 곡물상과 잡화상을 열어 군자금을 모으고 친일 부호를 처단하며 독립군을 양성하였다.[7]2. 3. 광복 이후
달성공원은 1905년에 공원으로 조성되었으며, 1965년에 현재의 모습으로 개조되었다.[1][2]2. 4. 연혁
신라 때 달구화현(達句火縣)이라 불렀으며 통일신라 경덕왕(742∼765재위) 때에 이르러 비로소 대구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달성의 옛 이름은 이 달구화(達句火) 달불성 (達弗城)에서 유래된 것이다.
우리나라 성곽 발달사상 가장 이른 시기에 나타난 형식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청동기시대 이래로 이 지방의 중심 세력을 이루고 있던 집단들이 그들의 생활 근거지에 쌓은 성곽(城廓)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성벽의 아래층에는 조개무지 유적이 있고 목책(木柵)의 흔적도 있다. 경주의 월성(月城)처럼 평지에 있는 낮은 구릉을 이용하여 축성한 것이 특징이다.
삼국사기에는 신라 첨해왕 15년(261)에 달벌성을 쌓고 나마 극종(奈麻克宗)을 성주로 삼았다는 기록이 있다. 신라에 합병된 뒤에는 군사 요지로 중시되었으며 그 후 고려 공양왕 2년(1390) 토성에 석축을 더했다. 성벽은 주로 흙으로 축조되었고 주위 길이는 약 1300m, 높이는 4m 안팎이다.[5]
조선 선조 29년(1596)에 석축으로 개축하고 상주에 있던 경상감영을 현재의 경상감영공원 자리로 이전하기 전까지 이곳에 두기도 했다. 1905년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달성공원 안에 대구신사(大邱神社)가 세워지기도 했다. 일본에서 발간한 《일본동맹통신사》에는 대구신사의 건립에 조선인 김용주(창씨명 가네다 류슈)가 2000JPY을 기부하였다고 되어 있다.
달성공원 자리는 본래 달성 서씨의 세거지(世居地)였는데 세종대왕 때 문중에서 토지를 국가에 헌납하였다. 세종대왕이 이를 포상하려 했지만 ‘서침’은 그 대신 국가에서 서민의 환곡을 탕감해줄 것을 건의하였고, 이에 따라 대구의 상환모곡은 1석당 오승씩 감면케 되었으며 조선 말까지 그 특례가 존속되었다. 대구 부민은 이와 같은 '서침'을 숭모하여 1665년 대구 구암서원에 봉향하였다. 한편 세종대왕은 회화나무를 심어 서침의 마음을 기리게 했는데 현재 달성공원 내에 있는 '서침나무'가 그 나무로 알려져 있다.[6]
1963년 사적 제62호로 지정되었다. 이어 1965년 2월 달성공원 종합조성계획을 확정한 후 1969년 공원으로 탈바꿈시켰고, 1970년 5월 달성공원 종합문화관, 동물원 조성을 완료하고, 공원 내에 이상화 시비, 관풍루, 천도교 최제우 동상을 안치하였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달성공원역에 내려서 조금만 걸어가면 만날 수 있다.
연도 | 내용 |
---|---|
삼한시대 | 달불성 |
1596년(선조29년) | 경상감영 설치 |
1905년(광무9년) | 공원 조성 |
1963년 1월 21일 | 사적 제62호 지정 |
1969년 8월 1일 | 달성공원 개원 |
1970년 5월 2일 | 동물원 개원 |
1975년 6월 1일 | 달성공원관리사무소로 기구 개편 |
1976년 5월 21일 | 공원관리사무소로 기구 개편 |
1989년 10월 1일 | 달성공원관리사무소로 기구 개편 |
2000년 4월 1일 | 무료 개방 |
달성공원 자리는 본래 달성 서씨의 세거지(世居地)였는데 세종 때 문중에서 토지를 국가에 헌납하였다. 세종은 이를 포상하려 했지만 ‘서침’은 그 대신 국가에서 서민의 환곡을 탕감해줄 것을 건의하였고, 이에 따라 대구의 상환모곡은 1석당 오승씩 감면케 되었으며 조선 말까지 그 특례가 존속되었다.[6] 대구 부민은 이와 같은 '서침'을 숭모하여 1665년 대구 구암서원에 봉향하였다. 한편 세종은 회화나무를 심어 서침의 마음을 기리게 했는데 현재 달성공원 내에 있는 '서침나무'가 그 나무로 알려져 있다.[6]
아시아코끼리,[3] 공작, 벵골호랑이, 불곰, 라마, 꿩, 독수리, 올빼미, 원숭이, 얼룩말, 늑대, 재규어 등이 있다.[4]
3. 달성 서씨와 달성공원
4. 달성공원 동물원
5. 교통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Daegu Dalseong Park
http://english.visit[...]
Korean Tourism Organization
2011-09-12
[2]
웹사이트
Dalseong Park
http://graphic.ieetu[...]
Colorful Daegu
2011-09-12
[3]
웹사이트
Daegu Dalseong Park Zoo in South Korea
https://web.archive.[...]
Elephant Encyclopedia
2011-09-12
[4]
웹사이트
Dalseong Park – a sort of kind of zoo
http://clairehawkrid[...]
Anticipation of Wonder
2009-11-24
[5]
웹사이트
대구광역시 - 달성공원
https://www.daegu.go[...]
[6]
뉴스
오마이뉴스 - 대구 달성공원에서 보는 항일의 역사
http://www.ohmynews.[...]
[7]
간행물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근현대사 디지털아카이브, 달성공원
http://archive.much.[...]
[8]
웹인용
대구시티넷 - 조선의 문장, 불후의 이름을 남기다. 서거정(徐居正)
http://www.daegucity[...]
2021-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